You are here

Resources

2022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 : 총괄보고서
Place of publication | Year of publication | Collation: 
세종시 | 2022 | 332p.
ISBN/ISSN: 
ISBN 979-11-5654-368-8
Author: 
양계민 외 5명
Corporate autho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Region: 
Asia and the Pacific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 : 총괄보고서

연구보고 22-일반03

 

<연구진>

연구책임자: 양계민(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공동연구원: 이정민(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정윤미(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엄진섭(충북대학교 외래강사), 장윤선(대구교육대학교 조교수), 전경숙(평택대학교 교수)

연구보조원: 박소영(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원)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다문화청소년의 성장 및 발달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발달추이를 분석함으로써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과학적 정책수립과 추진을 위한 근거마련을 하는 것이고, 둘째는 구축된 기초자료 및 다문화청소년 정책현황을 분석함으로써 다문화청소년 지원정책의 방향성을 확립하고 보다 면밀한 정책대안을 수립하는 것이다. 2022년도의 중점 목표로 후기청소년기 다문화청소년의 고졸이후 진로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을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성장으로 고졸이후의 후기청소년기 연령층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문화청소년의 경제활동비율이 일반 청소년 고용비율에 비하여 낮은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정책분석 결과 후기청소년기 다문화청소년 지원정책은 한국어교육과 직업교육에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지원정책에 대한 다문화청소년들의 인지도는 높지 않은 편이며, 알고 있어도 접근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년지원정책에 대한 이용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청년지원정책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접근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총 다섯 가지 정책을 제안하였다. 첫째, 후기청소년기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중앙부처의 전담부서 신설 및 정책추진방안, 둘째, 후기청소년기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정보제공 앱 개발 및 보급방안, 셋째, 후기청소년기 이주배경청소년 대상 정기 글로벌 취업박람회, 넷째, 이주배경자 진로멘토링 및 네트워킹 지원사업, 다섯째, 후기청소년기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맞춤형 진로취업지원사업 등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accomplished for two purposes. The first is to provide the foundation of the scientific policies establishment and propulsion for the youth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by obtaining basic data o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and by analyzing their developmental changes. The second is to set a direction of policies for the youth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make the detailed policies by analyzing the established panel data and current policies for them. The main research goal of 2022 is to understand the career paths of the youth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in their late adolescence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and explore policy measures for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youth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in their late adolescence has increased as they grew, and the rate of such youths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is lower than the employment rate of other youths. Second, the analysis of relevant policies found that those designed to support the youth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in their late adolescence were limi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Third, only few youth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are aware of such policies, which they have the difficulties to access even when they were aware of such measures. However, those who have the experiences of the policies were highly satisfied, which suggests the need to raise youth awareness of such measures and improve accessi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ive policies: 1) the installation of a department in the central government for the adultescence’s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and the management of relevant policies; 2)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an app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adultescence’s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3) a regularly held global job fair for the adultescence’s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4) a career mentoring and networking support project for the adultescence’s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and 5) a tailored career employment support project for the adultescence‘s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Files: 
Resource Type: 
Research papers / journal articles
Theme: 
Diversity / cultural literacy / inclusive
Level of education: 
Secondary education
Higher education
Keywords: 
Multicultural education
Adolescent education
Longitudinal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