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자료

문화정책의 (재)구성 – 2022 – 전지구적 공공재로서의 문화를 바라보다
출판지역 | 출판년도 | 페이지: 
파리; 서울 | 2023 | 327 p.
ISBN/ISSN: 
ISBN 978-92-3-100503-9 (eng)
ISBN 978-92-3-000196-4 (kor)
단체 저자: 
유네스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지역: 
전 세계 대상

글로벌 리포트 시리즈는 각 국의 <2005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에 관한 협약> 이행상황과 문화·창의분야가 <UN 2030 지속가능한 개발 어젠다>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그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2015년과 2018년 발간된 보고서와 같이, 이번 제3판은 창의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최근의 정책 개발 상황을 소개하고, 디지털 환경, 미디어 다양성, 지속가능발전, 예술가와 문화 분야 종사자의 이동성, 양성 평등 및 예술의 자유와 같은 분야의 현재와 미래의 과제를 조명한다.

 

2022년 발간되는 본 보고서에 소개되는 트렌드, 우수 사례, 국가 간 격차, 그리고 권고사항은 유네스코의 <문화 정책과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세계 회의(MONDIACULT 2022)>의 정책 토론에서 다룰만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2030 어젠다>에 기여하고자 하는 사명을 가지고,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며, 공공정책 스펙트럼에서 더 넓게 문화와 창의성을 정착시킬 방안에 대해 더 나은 이해와 새로운 문화정책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료 타입: 
연구 보고서 / 학술논문
주제: 
시민 / 시민성 / 민주주의
지속가능한 발전 / 지속가능성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 디지털 시민성
교육 분야: 
기타
키워드: 
cultural diversity
culture and development
Global public goods
Cultural policy
monitoring
문화다양성
공공재
문화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