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자료

장애청소년 친화적 청소년정책 추진방안 연구
출판지역 | 출판년도 | 페이지: 
세종시 | 2021 | 429p.
ISBN/ISSN: 
ISBN 979-11-5654-316-9
저자: 
김지연 외 3명
단체 저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지역: 
아시아 태평양 지역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장애청소년 친화적 청소년정책 추진방안 연구 / Study on Promotion of Youth Policy Friendly to Youth with Disabilities

연구보고 21-R08

 

<연구진>

연구책임자: 김지연(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공동연구원: 김승경(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오욱찬(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정소연(서울여자대학교 교수)

연구보조원: 지슬비(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사업운영원)

 

<연구요약>

∙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등 국제사회의 권고를 이행하고, 장애인 지원 시 수요 자의 요구에 따른 개별 지원과 생활주기별 지원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책패러 다임이 전환됨에 따라 2019년 문재인 정부는 국정과제 일환으로 장애등급제 를 폐지하였음. 국정과제에 ‘사회취약계층 장애청소년의 진로・취업교육 강 화, 장애인의 탈 시설화 등 지역사회 정착 환경 조성’이 포함되어 있고, 포용 국가 사회정책 추진계획과 제5차 장애인종합계획(2018~2022)에서도 장애 인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 강화를 강조하고 있으나, 장애인 관련 국제협약을 포함하여 주요 법률과 기본계획에서 규정한 원칙들이 청소년정책에 제대로 반영되어 구현되고 있는지, 정부가 추진하는 청소년사업에서 장애청소년의 접근성이 보장되고 있는지, 장애청소년의 지원 수요에 부합하는지 등에 대한 정책 진단조차 미흡한 실정임.

∙ 본 연구는 장애인 권리선언 채택 이후 장애(인)의 개념이 사회적 차원으로 전환되고, 이후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에서 도 손상, 활동제한, 참여제약의 세 가지 영역 중 한 영역 이상에서 어려움이 있는 경우를 장애로 규정함에 따라 청소년정책 대상으로서의 장애청소년을 ‘법정 장애 등록 청소년’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 상의 사유로 비장애청소년에 비해 일상에 현저한 제약이 있거나 장애로의 진전이 우려되는 특수한 지원 욕구가 있는 청소년’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는 전제에 서 출발하였음.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등록 장애청소년을 포함하여 특수한 지원 욕구가 있는 청소년을 포용하는 청소년정책 추진방안을 모색하였으며, 특히 국내・ 외 장애인 관련 정책 현황과 현장의 수요 파악을 통해 사회정책 전반에 걸친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되, 추진과제는 연구목적에 따라 「청소년 기본법」을 근간으로 하는 청소년사업에 국한하여 제안하였음.

∙ 본 연구는 그간 청소년정책 전반에서 정책적 지원 대상으로 조명하지 못했던 장애청소년에 대한 포용적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되며, 특히 연구결과는 ‘모든 청소년을 위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과 인프라 확충’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고 제7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2023~2027)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음.

∙ 나아가 국제협약과 국정과제에서 제시한 장애인 지원제도 및 인프라 확충에 기여하고, 청소년정책의 지원 대상 ‘장애청소년’의 정의를 ‘법정 장애 등록’ 이 아닌 사회적 개념과 기능을 기준으로 광의적으로 규정하는데 따른 논의를 활성화하며, 청소년정책에서 소외된 장애청소년의 지원 범위 확대와 이들에 대한 지원을 위한 정책수단을 제안함으로써 법률 개정과 제도개선을 위한 근거가 되고, 이를 통해 포용국가 청소년정책에서 추구하는 ‘모든 청소년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정당한 대우와 권익을 보장’ 받도록 하는 데 따른 다양한 사회적, 행정적 파급효과가 기대됨.

 

<Abstract>

As of 2021, there are about 100,000 disabled youth under the age of 24 in South Korea, which is about 1% of the total Korean youth population These figures, however refer to only “registered youth with disabilities”, excluding those who are non-registered; falling outside of statutory disabilities; and those that suffer from significant participation restriction in everyday life and common daily activities due to physical or mental issues in comparion with non-disabled youth. Qualification for disability registration is greatly limited and thus the prevalence of disability is significantly lower in South Korean than in other OECD countries, and Korean parents tend to be reluctant to enroll children 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potential policy target groups. This study was intended to seek various ways to provide integrated support for both non-disabled and disabled youth who had not been recognized as the policy targets as a potential solution for the “Youth Policy for Inclusive Nation”. Addressing “disability in adolescence” in the youth policy is critical for early detection of disability and easing progression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Since the youth policy focuses on “youth” rather than “disability” because of its unique nature, it is expected that shortcomings can be resolved in the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 included in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national tasks, and further, youth projects can be professionally efficiently organized by supporting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youth.

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disabled youth in the policy target groups was defined as youth with special needs due to their physical or mental issues, including non-registered youth and youth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disorder (BAIQ youth), regardless of their registration. In particular, the researchers suggested that the new concept of “health disorder” should be introduced as a type of adolescent crisis. This is because: (i) the demand for disability registration in youth policy has no justifiable reasons nor practical benefit; and (ii) the broad definition of disability based on the social concept of disability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recommendations i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youth policy, “fair treatment and protection of the rights and interests of all youth”. Above all, disabled youth found in the field are frequently non-registered, or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or mental issues, which are not covered by the social welfare system, statistics, or even relevant laws.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s investigate the living conditions and needs of youth with disabilities in eight sectors, including daily life, based on secondary data analysis of nationally approved statistical raw data, considering physical limitations, as well as interviews with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and social workers, thereby illustrating issues across social policies.

Meanwhile, in the current status s survey of 867 institutions (response rate: 73.8%), eight types of youth activity and welfare facilities nationwid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disabled youth48) as compared to non-disabled individuals using these facilities was about 5.6% (SD = 10.8) on average for the past three years. This partially proves that i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are strengthened, it is possible to create a friendly environment for all youth by embracing those youth with disabilities. We hope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ill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disabled youth and promote the “Youth Policy for Inclusive Nation” as basic data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relevant social policies and establishing the 7th Basic Youth Policy Plan(2023-2027).

Keywords: Youth policy, youth with disabilities, BAIQ youth, youth with special needs, health disability, Youth Policy for Inclusive Nation

 

 

파일: 
자료 타입: 
연구 보고서 / 학술논문
주제: 
인권
지속가능한 발전 / 지속가능성
교육 분야: 
중등교육
고등교육
키워드: 
Children with disabilities
Youth with disabilities
Youth policy
inclusiv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