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자료

미래교육 전망: UNESCO 교육의 미래와 OECD 교육 2030을 중심으로
출판지역 | 출판년도 | 페이지: 
진천군 | 2022 | 101p.
저자: 
김미경(연구책임자)
단체 저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지역: 
아시아 태평양 지역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래교육 전망: UNESCO 교육의 미래와 OECD 교육 2030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O 2022-1

 

연구책임자: 김미경(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자: 김경희, 김현미, 이수정(한국교육과정평가원)

위촉연구원:  육민정(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요약>

본 연구는 변화하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UNESCO 교육의 미래와 OECD 교육 2030을 비교하여 미래 교육을 전망하고, 이에 따른 향후 우리나라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정책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1년 발간된 UNESCO 교육의 미래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OECD 교육 2030과 미래 학교교육 시나리오에서 제시한 미래 교육 내용을 UNESCO 교육의 미래와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한국의 미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앞으로 다가올 사회의 변화와 이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미래 교육에 관한 연구들을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측면에서 고찰하고, 미래의 인재들에게 요구 되는 새로운 학력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미래 교육 비전을 공유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으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논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UNESCO의 교육의 미래에서 논의하고 있는 주요 내용을 교육과정, 교사, 학교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UNESCO 교육의 미래에서 제시하고 있는 역량, 지식, 문해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UNESCO는 미래 사회를 위해 육성해야 할 역량으로 협동, 협력, 연대, 상호의존, 포용 등을 강조하였으며, 지식에 대한 비판적 학습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고, 언어적 문해력, 수리력, 디지털 문해력 등의 문해 교육이 미래 교육에서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둘째, 교사 측면에서는 ‘협력적 직업’으로서의 교사의 역할과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중심으로 UNESCO의 논의를 분석하였다. 셋째, 학교 측면에서는 학교가 보호되어야 하는 공간인 동시에 변혁이 필요한 공간이라는 UNESCO의 논의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UNESCO의 미래 교육 전망 분석을 바탕으로 세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미래 사회를 준 비하기 위해 협동, 협력, 연대, 상호의존성과 같은 사회적 역량을 계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 다원화에 따라 공공재로서의 교육의 역할은 강조될 전망이다. 셋째, 기술공 학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사회에서 교육의 새로운 역할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주목해야 한다.

4장에서는 UNESCO 교육의 미래와 OECD 교육 2030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교사, 학교 측면에서 두 국제기구가 제시한 미래 교육 전망을 분석하였다. 우선 OECD 교육 2030을 중심으로 OECD가 교육과정, 교사, 학교 측면에서 미래 교육에 대해 제안한 주요 내용을 살펴본 후, UNESCO와 OECD가 제안한 미래 교육 전망을 비교・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측면에서 UNESCO와 OECD는 모두 복잡하고 예측불가능한 미래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다양 한 역량과 지식, 문해력 함양을 위한 교육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교사 측면에서 UNESCO와 OECD 모두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변혁적 주체를 기르기 위한 학교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앞으로 이를 위한 교사 전문성 계발 및 교육 환경 조성이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셋째, 학교 측면에서 UNESCO와 OECD 모두 미래 사회의 학교는 전방위적으로 달라지며 혁신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앞에서 언급한 미래 교육 전망에 부합하도록 학교 환경과 학교 문화의 대대적 변화가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교육에서 교육과정, 학교와 교사의 역할, 미래 국제 사회에서의 한국 교육의 역할을 제언하였다. 첫째, 미래 교육과정의 방향과 가치는 미래 사회를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을 파악하여 교육 체제에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또한 급격한 기술 발전으로 인해 야기되는 미래 사회의 불확실성에 학생들이 대처할 수 있도록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능력과 역량을 준비시켜야 한다. 둘 째, 미래 교육에서 학교의 역할은 시공간이 확대되고 미래 학습 환경이 제공되는 배움 의 장의 기능을 유지할 것이다. 그리고 학교는 협력과 통합의 공간, 새로운 네트워크 연결망을 갖춘 교육 생태계가 조성된 공간이 될 것이다. 교사 또한 학생의 주체적인 행 동을 이끌어냄과 동시에 협력적인 동반자로서의 역할로 전환될 것이다. 셋째, 미래 국 제 사회에서 한국이 국제 사회의 교육 의제를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한국의 우수 사례 를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UNESCO와 OECD의 미래 교육에 대한 담론은 미래 사회에서는 사회적 역량이 매우 중요하고, 공공재로서의 교육의 역할과 교사의 전문성 계발이 더욱 강조되 며, 디지털 기술의 발전함에 따라 학교 환경과 학교 문화의 변화가 요구된다는 점을 확인하게 해주었다.

파일: 
주제: 
지속가능한 발전 / 지속가능성
변혁적 이니셔티브 / 변혁적 교수법
기타
교육 분야: 
영유아 보육 및 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
키워드: 
Futures of education
Transformative Education
OECD Education 2030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